"산후조리 지원정책 전반에 대한 공공성 강화 필요"
전국 산후조리원 중 공공산후조리원은 전체의 4.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대구, 인천 등 공공산후조리원이 없는 지역도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산후조리 지원정책에서 국가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박희승 더불어민주당(남원장수임실순창) 국회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아 1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전국에 운영 중인 산후조리원 466개소 중 민간산후조리원이 445개소(95.5%)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공공산후조리원은 단 21개소(4.5%)에 불과했다.
출처 : 베이비뉴스(https://www.ibabynews.com)